F A Q
F A Q

 

FAQ

생태와 과학의 관계는 어떻게 될까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0-02-25 17:01 조회761회 댓글0건

본문

우리 어른들은 학교에서 물리,화학,지학등의 세분화된 과학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러나..이 기준은 성인 또는 완전한 형식적 조작기에 들어선 단계의 과학 활동입니다.

이런 물리,화학,생물,지구과학의 단계 이전에는 어떤 단계의 과학과목이 있을까요?

이런 물,화,생,지의 이전 단계인 초등 고학년이전의 어린이에게는

물질,생명,변화,에너지등으로 구분을 한 과학교과를 학습합니다.

그러므로 초등 저학년 이전의 어린이에게는 생태라는 독립적인 과학 교과목으로

과학 실험에 접근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초등학교 저학년 이전에 생태기르기를 해보는 것은 여러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첫째, 일정 기간 실험 대상물을 관찰하면서 나타나는 변화를 알아보는 과정으로서의

중요성이 있습니다.

둘째,일정 생명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성장하고, 다시 자손을 남기고 하는 과정을
어린이 스스로 관찰하는 태도를 기르는데 있습니다.

세째,이런 과정을 통하여 생명의 소중함이나 고귀함을 알아보는데 의미가 있다고 할수 있습니다.

이런 생태 기르기를 하면서

그냥 키우는 것보다는 생태를 정밀하게 측정하면서 관찰하는 태도를 기르게 해주어야 합니다

방법론적으로는

1. 크기와 모양을 측정하고 그려봅니다.

2.햇빛,물,공기등 식물이 자라는 조건을 생각해 봅니다.

3. 일정기간 어떤 상태로 변화하는지 그 과정을 관찰하게 합니다.

4.한 세대를 마무리하고 다음 세대를 어떻게 번식하는지 알아보도록 합니다.

이렇게 우리 어린이들 스스로 생태기르기를 해본다면 우리 어린이들은 우리 어른이 생각한 것보다 더 다양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할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