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 A Q
F A Q

 

FAQ

연령별 과학 실험 목표는 어떻게 다른가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0-02-25 16:59 조회801회 댓글0건

본문

과학실험!! 어린이들에게 참 유익한 프로그램이라고 우리 어른들은 생각합니다.

맞는 말이지요..과학실험..그중에서도.어린이 스스로 해보는 과학실험은

여러면에서 중요하다고 하는데 이견은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다만 우리 어른들의 눈에서 보는 아이들의 과학실험에 대한 인식과 행동의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 어른은 과학실험하면 연령에 관계 없이 원리를 이해하고 ..과학적 지식을 축적하는..그런 실험교육 과정을 떠올리게 됩니다.

그러나 과학실험은 어린이의 발달수준-연령-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1. 초등학교 2학년 이전(유치,유아포함)의 과학실험과 어린이들의 행동

 

  우리 교육과정하에서 과학이라는 독립적인 교과목이 등장하는 것은 초등학교 3학년부터입니다.

  왜 초등학교 3학년 이전에는 과학이라는 독립적인 과목이 존재하지 않고 슬기로운 생활이라는 영역에  들어가 있을까요?

  그 이유는 바로 어린이들이 과학이라는 독립적인 과목으로 접근하는 시기가 아니고 슬기로운 생활이라는 통합적 접근을 하는 시기입니다.

즉 과학실험을 하지만 어린이의 내부적으로는 수학,과학,창의성,이해력,문제 해결력,미술,체육등이 복합적 수업활동이 나타나는 시기라는 뜻입니다.

 

과학실험을 하면서 미술,체육,음악,수학 등의 다양한 활동을 어린이들이 나타내는데
 이는 어린이의 발달에 맞는 아주 자연스런 행동입니다.

  이런 일련의 행동들이 우리  어른들의 눈에는 놀이처럼 보이겟지요.그래서.놀이를
 통한 학습.놀이를 통한 교육이 일어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이 시기에 있는 과학실험은 어린이가 수행하는 과학실험과 그 전에 어린이 스스로
 가지고 있던 경험이나 지식을 전부 이용하는 중요한 활동이라 보아야 합니다.

 

  전구에 불을 켜고 어두운곳으로 가려는 행동이나 이불을 뒤집어쓰는 행동,
전기 에너지의 실험이 아니고 빛의 실험으로 진행하려고 하는 행동 모두 이 단계의
 어린이에게는 자연스럽고 아주 좋은 교육활동이라 보아야 합니다.

 

  실험을 하면서 수업이 아닌 놀이처럼 재미있게 놀게 해주세요.

그러면 우리의 아이들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경험과 지식을 과학실험에 적용하여
 어른들이 생각하지못한 확장적  실험 활동을 하게 됩니다.

이런 활동은 나중에 학습을 하는 적령기 학습에 많은 도움을 준답니다.

아마 제학년에 맞는 과학을 학습할때에 실험을 한 어린이는 암기를 하지않고 이해를
 기반으로 학습활동을 할겁니다.

아마도 우리의 아이들은 나중에 배울..기본적인 능력을 발달시키는데 과학실험을
 이용하고 있는거라고 보아야 할겁니다.

 

2. 초등학교 3학년 이상의 어린이가 하는 과학실험

이제서야 우리 어린이들은 어른들이 생각하는 과학실험의 목표에 진입합니다.

이제서야 원리를 터득하고,지식을 축적하고..그런..과학실험을 하게 되겟지요.

 

다만, 어린이의 발달단계보다 어려운 실험은 어린이가 이해를 하지는 못하더라도

신기한 현상이 우리 어린이들의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게 될겁니다.

 

구체적 조작으로 하는 과학실험은 과학 지식의 축적이외에 사고력이나 창의성등을
발달시켜주는 보너스역할을 한다고 보아야 할겁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